파가 노균병에 걸리면 잎이 쭈글쭈글해지면서 쭈꾸미 다리처럼 꼬이는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를 주민들은 그냥 ‘쭈꾸미병’이라고 불러왔다. 꼬불어지는 양파 잎을 보면서 안타까워하는 농민이 한편으로는 그것에서 쭈꾸미를 연상해 낸 그 기지(機智)는 바다를 끼고, 대규모로 양파를 재배하는 무안이 아니면 만들어 낼 수 없는 용어라고 생각하니 그 의미가 각별하다. 낙지와 비슷해보이지만 길이가 짧은 것이 특징이다. 무안에서는 소라방을 바다에 던져두면 야행성인 쭈꾸미가 빈 소라껍질을 집으로 이용해 들어가는 습성을 이용해 쭈꾸미를 잡는 전통방식을 이용한다. 쭈꾸미는 산란기인 4∼5월을 앞두고 3월부터 알을 품기 시작하는데 이때가 부드럽고 맛이 좋다.
도요새는 동아시아 이동 경로상 호주와 뉴질랜드에서 겨울을 보내고, 여름은 시베리아 일대에서 번식을 하기 위해 이동을 하는데 그 긴 여행 중 중간기착지로 한반도에 위치한 무안갯벌을 경유한다. 갯벌이 건강해 다양한 먹이생물들을 공급할 수 있어서 도요새의 여행은 가능하며 따라서 다양한 도요류들이 관찰되는 갯벌은 갯벌 생물종 다양성이 풍부함을 반증하는 것이다.갯벌에 나서면 조용한 해안가 곳곳에서 “뿅, 뿅, 뿅 뿅”“삐욧, 삐욧”같은 소리들이 넘쳐난다.
청아하면서도 아름다운 이 소리의 주인공은 무안갯벌을 찾아온 도요새와 물떼새 들이다. 도요새들은 시베리아 일대에서 짧은 여름에 맞춰 번식한 다음 2세들과 함께 다시 남쪽 월동지를 향해 이동한다. 이때도 서해안 갯벌은 중간기착지로 활용된다. 그리고 얼지 않는 땅 남쪽을 향해 날아간다. 그래서 도요새는 ‘가 장 멀리 나는 새’ 노랫말 가사 속에도 남아 있다. 봄가을이면 만조시 무안갯벌 인근에서는 많은 도요새 무리들을 만날 수 있다.